智異⼭ 紀⾏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5)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 紀⾏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5)

역자(譯者) 정경문(茗谷 鄭慶文)
  • 제 7 호

본문



권방(鶴林 權訪)  遊靑鶴洞(유청학동)  3-3



懍乎悄乎難久居(늠호초호난구거) 늠름하고 엄하시어 오래 머무르기 어려워,

拂衣笑出南山阿(불의소출남산아) 웃으며 옷을 차려입고 남산 언덕을 나가네.

蟾湖綠波入望中(섬호록파입망중) 섬진강의 푸른 물결은 눈앞에 들어오고,

白雲山影沈蛟宮(백운산영침교궁) 백운산의 그림자는 섬진강에 가라앉네,

朋更入道士菴(휴붕갱입도사암) 벗들과 함께 다시금 도사암으로 들어가니,

孤雲一去尋無蹤(고운일거심무종) 고운이 한번 떠난 뒤엔 찾을 길이 없구나.

師菴歸來細路尋(사암귀래세로심) 오솔길을 찾아서 국사암으로 돌아오는데,

忽逢驚兔出篁林(홀봉경토출황림) 별안간 놀란 토끼가 대나무 숲에서 나오네.

會待遍踏頭流勝(회대편답두류승) 두류산 승경을 두루 다니기를 기다리면서,

仙槎擬泛滄溟深(선사의범창명심) 깊은 바다에 신선 뗏목을 띄워볼까 하노라.


懍乎(늠호) : 늠름하고 용감함.        悄乎(초호) : 태도가 엄한 모양.

笑出(소출) : 웃으면서 달려 나간다.   阿[언덕 아] 언덕, 고개, 

蟾湖(섬호) : 하동읍(河東邑) 갈마산(渴馬山) 섬호정(蟾湖亭)에서 섬진강(蟾津江)을 바라보면 강(江)이 호수(湖水)처럼 보인다고 하여

                 섬호(蟾湖)라 하였다.

綠波(녹파) : 푸른 물결.           白雲山(백운산) : 전남 광양시 다압면·옥룡면·진상면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222m.

蛟宮(교궁) : 용궁(龍宮)과 같은 뜻으로, 전하여 대강(大江), 대해(大海)의 뜻으로 쓰인다. 이 시에서는 섬진강(蟾津江)을 뜻함.

道士菴(도사암) : 화개면(花開面) 운수리(雲樹里) 쌍계사(雙磎寺) 동쪽 산기슭에 있었던 암자.《晋陽誌》

孤雲(고운) : 통일신라시대 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자(字).

師菴(사암) : 국사암(國師庵).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雙磎寺)의 암자(庵子). 724년(신라 성덕왕 23)에 삼법스님이 개창(開創)한 것으로                  그 뒤 840년(신라 문성왕 2년)에 진감국사(眞鑑國師)가 중건(重建)하여 이곳에 계셨다고 하여 국사암이라 전한다. 歸來(귀래) : 돌아오다.            細路(세로) : 좁은 길. 오솔길.          忽逢(홀봉) : 별안간.              篁林(황림) : 대나무 숲.

會待(회대) : 기다리다.            遍踏(편답) : 널리 돌아다님.           仙槎(선사) : 은하수로 가는 신선의 뗏목이라는 뜻으로, 성사(星槎)라고도 한다. 滄溟(창명) : 넓고 큰 바다. 

※ 1767년 12월13일. 완폭대(玩瀑臺), 불일폭포(佛日瀑布), 용추(龍湫), 불일암(佛日菴)을 구경하고 험한 벼랑길을 따라 내려가는데 양 절벽에서     돌이 굴러떨어지는 소리가 우렛소리처럼 골짜기를 진동하였다. 작은 돌은 구슬이 쟁반에 구르는 것 같았다. 내려오는 동안에도 크고 작은 돌들이     계속하여 굴러떨어졌다. 도사암(道士菴)을 거처 머물렀던 국사암(國師庵)으로 돌아왔다.

 

전체 99 건 - 1 페이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何誅喬桐主(하주교동주) 어찌 연산군을 탓할 수가 있겠는가&…

제 27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 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 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

제 27 호

이런 저런 날

시인 김중열

이런 저런 날시인 김중열우리에게그런 날도 있었고 우리에게이런 날도 있었다우리에게언제 저런 날이있었는지꿈같은 이야기지나간 세월은추억속에 묻히고오늘의 시간은냉혹하지만내일의 시간은행복할꺼야오늘 내리는 비새생명이 꿈틀거리고 내일 사랑의 빛이 우리곁으…

제 27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자리짜기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자리짜기

제 26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6)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2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6)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2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衣從畢齋摳(의종필재구) 점필재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는데,…

제 26 호

맨몸으로 비를 맞는 사람

시인 최증수

맨몸으로 비를 맞는 사람시인 최증수비가 오면 만물이 젖지요.땅도, 동식물도, 사람도 모두 다.비의 이야기와 풍요를 기리며온 몸으로 젖기도 하고, 우산 받으며 젖기도 하지요. 큰 가뭄에 물방울 보고 절하던 사람도 비에 젖고, 긴 장마가 지겨워 한 숨 쉬…

제 26 호

진정한 사랑

시인 김중열

진정한 사랑시인 김중열재래시장 노점만원짜리 꽃무늬여름옷 한벌 사서한평생 말없이 살아준 아내에게살며시 주었지누구처럼유명 브랜드 목걸이 가방 반지꿈같은 별천지 얘기지만은내 진정한 마음담은 선물이라고맙다며미소로 답하여 주었답니다꿉꿉한 장마철조개 버섯 애호박미나리 감자 땡초 …

제 26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대장간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대장간

제 25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5)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1/4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5)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1/4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天地旣儲精(천지기저정) 하늘과 땅은 이미 정기가 쌓였는데,…

제 25 호

천리길 달려온 벗님

시인 최증수

천리길 달려온 벗님시인 최증수날 어떻게 생각했기에내가 선 그 자리를 가슴에 새겼다가눈 감고도 찾아오는 사람.두고두고 간직한 애틋함이 하늘 울렸는지 두 발로 쿵쿵거리며 폼 나게 걸으니그 모습이 어찌나 예쁜지요.만나는 기쁨만큼 신나는 일 있을까푸른 잎이 반짝이며 …

제 25 호

아름다운 마무리

시인 김중열

아름다운 마무리시인 김중열돌밭이라도생명이 숨쉰다가시밭길에도꽃이 핀다높은 산중일수록메아리 울림이 길고 굵다깊은 바다에는신비의 전설이흐른다세상은 잠시도멈추지 않고세월이란 이름으로 흐른다우리들 모두이런저런 흐름속에 매몰되어 멈 춘다지난 날을 되돌아보며 -

제 25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용선관음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용선관음

제 24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4)

枕湖亭(침호정) 岳陽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4)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枕湖亭(침호정) 岳陽노광무(懼菴 盧光懋)-침호정-枕湖亭子靜無塵(침호정자정무진) 침호정 정자는 고요해 티끌 하나 없으며,椽竹簷䒢起造新(연죽…

제 24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 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 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

제 24 호

달빛

시인 김중열

달빛시인 김중열달빛아래선비가 瞑想에젖어 들었다달빛아래한 여인이 정안수 떠놓고 기도드리고 있다달빛아래어부가 은빛파도를 헤치며 수평선 너머로 떠난다 달빛아래老스님이풍경소리 저멀리 山寺를 오른다달빛맑고 밝은 달빛 영원한우리 마음의 등대 이…

제 24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