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1년 앞두고 ‘하동소식’지 보급을 늘리겠다… “선거운동 논란”
내년 선거 앞두고 갑자기 보급 확대 … “선거용이냐? 곱지 않은 시선”
- 제 27 호
본문
선거 1년 앞두고 ‘하동소식’지 보급을 늘리겠다… “선거운동 논란”
내년 선거 앞두고 갑자기 보급 확대 … “선거용이냐? 곱지 않은 시선”
하동군이 지방선거를 1년 앞두고 갑자기 ‘하동소식’ 지(誌) 보급을 늘리겠다고 추진하고 있다. ‘하동소식’은 연간 4회 계간지 형식으로 쭉 발간해 왔다. 하동사람들의 삶의 모습은 물론 하동군의 주요 군정들도 편집해 왔다. 대부분이 하동군정이 잘하고 있으며 자치단체의 실적 등을 보도자료 형식으로 실어 왔다.
물론 ‘하동소식’ 이라는 타이틀이 보여주듯이 현 하동군수의 업적이나 성과들이 주로 많이 실리고 그것을 홍보하는데 방점이 주어질 수밖에 없는게 지방자치제의 현실이다.
또 현 군수의 행정성과를 주로 편집한다고 하더라도 크게 문제될 게 없어보인다. 하동군의 발전 모습에 현 하동군수의 역할이 주도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동군의 발전 실상의 곳곳에 군수의 손길이 닿지 않고, 예리한 판단력이 더하여지지 않은 사례가 없을 것이다. 그런 만큼 ‘하동소식’지의 중심에 군수의 활동상에 방점이 주어지는 것에 크게 이의를 제기하는 군민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1년 앞두 시점에 즈음해서 하동군이 홍보부서를 통해서 ‘하동소식’지 보급을 늘리려는 시도를 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군민들은 그 의도를 놓고 심히 걱정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동군은 지난 6월 초 ‘서울향우회 김찬우 회장’ 등에게 ‘하동소식’ 지를 추가로 보급하겠다며, 필요한 향우분들의 구독 의향을 파악하겠다고 문서를 내보냈다.
재외향우뿐 아니라 군내 소재 군민에게도 추가 신청자에게 보급하겠다는 단서도 달았다. 총 발행 부수도 2만 3,000부라고 밝혔다. 이 문건의 발송자는 기획예산과장과 홍보담당으로 명기돼 있다. 한마디로 하동군이다.
군정을 열심히 챙기고 또 발전하는 하동군의 실상을 출향 향우들과 군민들에게 알려서 공유하고, 나아가 공감을 통한 협력을 이끌어내려는 취지로 이해한다면 나쁠 게 없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편집 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더더욱 세간의 논란이 될 게 없다. 하지만 선거를 1년 앞두고 또 현 군수가 재선에 도전을 하겠다는 의중을 더하게 되면, 이 상황은 예사롭지 않은 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
자칫 편집 방향을 군수 업적 위주로 틀어서 통상적인 군정의 범위를 벗어난 내용들을 주로 실을 경우, 이것은 순식간에 군수의 홍보지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전선거 운동 여부를 따져봐야 하는 틀 안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면밀한 감시의 대상이 된다. 물론 어떤 글에서는 선거법 위반 논란에 연루되는 사례도 발생할 것이다. 다시 말해 하동소식을 전하겠다는 당초 취지와 본질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발행 부수 면에서도 2만 3,000부는 적은 발행량이 아니다. 도내 주요 일간지들의 발행 부수가 보통 2만 부 안팎인 점을 감안하고 또 하동군민 4만여 명의 가구 수를 감안하면 적지 않은 부수다.
문해력을 갖춘 세대의 가구 수만 감안하면, 하동군에는 모든 가구에 보급하고도 남는 발행 부수다. 또 재외향우들에게 보내는 공문을 유심히 살펴 보면, 재외향우에게 보급을 늘리겠다는 취지를 핑계로 일반 군민들에게도 보급을 늘려서 선거 재선 도전을 전제로 한 홍보용 도구로 사용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지 않은 것으로 읽힌다.
하동군정의 소식을 군민들에게 더 충실하게 전하겠다는 것은 지적받을 사안이 절대로 아니다. 하지만 좋은 칼도 음식을 요리하는 데 사용하면 좋은 조리도구가 되지만 이것을 범죄에 사용하게 되면 돌이킬 수 없는 흉기로 바뀐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례다.
하동군이 지방선거 1년을 앞두고 갑자기 ‘하동소식’ 지를 늘려 보급하겠다는 것이 발행의 본질적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그리고 현 군수가 재선에 나서는 것은 오로지 본인의 선택이지만, 현직을 이용해 ‘하동소식’이라는 책자를 이용한다면 출발부터 운동장을 기울어지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군민들은 유심히 감시할 것임을 기억하길 바란다. /김회경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