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 간 사 ▣ - 김 종 균 주간하동 대표이사 > 오피니언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 창 간 사 ▣ - 김 종 균 주간하동 대표이사

하동군민을 ‘복두꺼비 섬진(蟾津)이’처럼 섬기고 두루 살피는 언론이 되겠습니다.
  • 제 1 호

본문


 

섬진강과 하동, 이 두 단어와 명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그런 만큼 섬진강이 주는 이미지는 하동 사람들에게 큰 힘입니다. 섬진(蟾津)은 두꺼비와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두꺼비 나루터’입니다. 

두꺼비처럼  튼실하고  강건한  모습이기도 하고, 복을 안겨다 주는 복된 곳이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발원지가 그리 길지 않으면서도 강폭이 대단히 넓고 깊으며 물 흐름도 굳셉니다. 두꺼비의 모습을 그대로 닮았습니다. 

하동군은 민족의 영산 지리산과 노량 바다 그리고 넓은 너뱅이 들판을 품고 있어서 예로부터 사람 살기 좋은 곳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외롭게 우뚝 솟아 있지만 금오산을 바라보는 군민들의 기상도 대단히 크고 우렁찹니다.

하동 사람들은 전국 어디로 가나 잘뭉치고 활동적입니다. 그리고 전국 어디에 살든 고향을 생각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으뜸입니다. 

늘 고향 하동을 먼저 생각하고 고향 사람들을 떠올립니다. 그래서 ‘마음의 고향 하동’이란 구호가 붙어졌는지도 모릅니다.

하동군은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산과 들판, 바다를 두루 갖추고 있는 유일한 고을입니다. 다시 말해 무한 한 발전 가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조선 중기 왜구의 침략으로 나라가 전란에 빠졌을 때 가장 성공 적으로 왜적을 막아낸 곳이기도 합니다. 

노량 바다는 그래서인지 수호 신으로 여겨지며 하동을 지켜주는 호국의 바다로 인식됩니다.

두꺼비처럼 듬직하고 지리산의 정기를 품고 감도는 섬진강과 남해의 수호신이 지켜주는 하동 땅, 이 땅에 서도 기운이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하동 군민들의 자부심이 용솟음쳐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즈음해서 하동 군민들의 자부 심을 키우고 소통과 연대로 복이 넘 치는 하동군을 만드는 데 작은 힘이 라도 되고자 지역언론인 ‘주간하동’ 을 창간하게 됐습니다.

‘주간하동’은 군민들 간은 물론 군수 와 군민, 군의회가 더 활발하게 소통 하도록 하는 데 이바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군민의 뜻이 제대로 파악되 지 않거나 군정에 전달되지 않는 곳에는 언제든지 달려가서 소통을 이어주고자 합니다.

군수를 비롯한 군정의 잘못이나 소 홀함이 발견되면 가차 없이 지적하겠습니다. 

항상 군민의 편에 서서 군 정을 바라보는 언론의 바른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이뿐 아니라 하동 향우 40만과 군민 들이 더 잘 연결되고 출향 인사들의 고향사랑 정신이 더 커지도록 이음 역할도 하겠습니다. 

군민들 간의 연 대를 더 도탑게 하고 내·외 하동인 들 간의 유대를 더 끈끈하게 맺어주 고 이끌어 나가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군민 한 분 한 분을 섬진이 복두꺼 비처럼 두루 살피고 군민 모두가 잘 사는 하동군을 만드는 데 혼신의 노력을 하겠습니다. 

직필정론과 고향 사랑의 정신을 실천하는데 게으르 지 않을 것을 다짐합니다.

군민 여러분도 새로운 각오로 출발 하는 ‘주간하동’이 무럭무럭 성장하 고 또 군민과 동고동락하는 친구가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 가져 주시고 사랑을 보내 주시길 부탁드립니

다.

‘주간하동’ 임직원들은 군민과의 약 속을 지키기 위해 늘 초심을 잃지 않고 노력하는 언론인이 되겠습니 다. 군민 여러분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이 게시물은 주간하동님에 의해 2024-08-02 05:18:30 뉴스에서 이동 됨]
전체 138 건 - 1 페이지

[기고] 조례 하나에 집착한 군수, 자치의 이름으로 권력을 틀어쥐나?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조례 하나에 집착한 군수, 자치의 이름으로 권력을 틀어쥐나제5조 5호의 숨겨진 진실과 그 위험성하동군이 추진한 ‘공무원 성과시상금 지급 및 운영에 관 한 조례안’은 공무원의 업무 성과를 촉진하고 사기를 진 작하는 제도로 볼 수 …

제 27 호

[기고] 하동과 하동인을 사랑한 군수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하동과 하동인을 사랑한 군수군수가 아니라 동행자였던 사람“집에서만 팔지 말고 이고 지고 나가서라도 팔아라. 그게 그분의 방식이라.” 하동에서 농산물 가공품을 만드는 한 생산자의 회고는 하나의 상징이다. 그는 책상머리에 …

제 27 호

[칼럼] 너는 몇 배를 이바지했느냐? … 너가 끼친 해악은 생각지 않느냐?

樵夫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

너는 몇 배를 이바지했느냐    … 너가 끼친 해악은 생각지 않느냐잘할 수 있다고 외치기 전에 혹여 내가 잘못할 수 있는 소지는 없는지 먼저 생각해야 樵夫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지난 6월 대선 과정에 치열했던 열기가 아직 가시지 도 않…

제 27 호

[사설] 유럽식 공원, 유럽식 여가시설 … 하동군이 지향하는 도시만들기 목표?

유럽식 공원, 유럽식 여가시설  … 하동군이 지향하는 도시만들기 목표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하동에서 ‘유럽식 여가 시설이나 공원’이 필요할까하동군 민선 7기 목표가 ‘콤팩트 매력도시’ 건설 하동이다. 매력도시는 하동군민들 대부분이 이해할 수 있는 단어며…

제 27 호

[기고] 창간사 강대선 하동군의회 의장

창간사 강대선 하동군의회 의장 푸르름이 절정을 이루며 초여름 의 기운이 짙어가는 6월, 군민의 사랑을 받아 온 (주)주간하동 창 간 1주년을 맞이하게 됨을 진심 으로 축하의 말씀드립니다.지역  신문은  단순한  정보…

제 26 호

[기고] 하동군 인사원칙도, 배려도 형평성도 지키지 않아…“불만 불러”

이번 인사 이른바 ‘인사권자 지 마음대로 인사“란 지적 자초

하동군 인사원칙도, 배려도 형평성도 지키지 않아…“불만 불러”이번 인사 이른바 ‘인사권자 지 마음대로 인사“란 지적 자초행정직과 전문기술직 간 형평성 안배‧전보 제한 기간 안지켜 하동군이 7월 7일 자로 2025년 하 반기 정기인사를 단행했다. 6급에 서 5급…

제 26 호

[기고] | 기 고 | 2025년 두우레저단지 조성사업 위기에 대한 주민들의 분노… 주민 입장문

두우개발지구 대책위 김점우

| 기 고 |  두우개발지구 대책위 김점우 2025년 두우레저단지 조성사업 위기에 대한 주민들의 분노… 주민 입장문정부는 말로만 경제 활성화 언제까지 규제 없앤다고 외칠 것인가  하동군 금성면 고포리·궁항리 위 치한 두우산 약 82만 평…

제 26 호

[정정보도] [정정보도문] 횡천역 공원화사업…“미니골프장 부설 특혜 논란” 이유?

[정정보도문]횡천역 공원화사업…“미니골프장 부설 특혜 논란” 이유본 신문은 지난 6월 24일 횡천역 공원화사업 보도에서 일부 사실 과 다르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이 확인되어, 하동군의 정정 요청 및 반론을 받아들여 보도 내용을 정정합니다.① 원문 : 거리가 짧은 …

제 26 호

[기고] 말뿐인 혁신, 군민은 속지 않는다 — 하승철 군정 3년의 민낯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말뿐인 혁신, 군민은 속지 않는다 — 하승철 군정 3년의 민낯부풀려진 성과 vs. 하동군의 실제 지표하동군청과 군이 배포한 보도자료를 별다른 비판 없이 받아쓴 일부 언론은 “공모 148건‧국·도비 2,700억 확 보, 인구 순유…

제 26 호

[기고] 집도 없고 기업도 없는 하동: 무능한 군정이 만든 주거·경제 공동화의 민낯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집도 없고 기업도 없는 하동: 무능한 군정이 만든 주거·경제 공동화의 민낯하동군의 시계는 거꾸로 흐르고 있다. ‘컴팩트 매력도 시’라는 구호가 곳곳에 내걸렸지만, 정작 군정(郡政)의 방향은 민간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아파트를 …

제 26 호

[칼럼] 전지훈련의 성지 하동 … 선수들을 수용할 숙박시설 부족하다

전지훈련의 성지 하동… 선수들을 수용할 숙박시설 부족하다선수들이 먹고 잘 수 있는 숙박시설 확충 및 활용도 제고 시급… 오래된 숙제  樵夫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하동군은 산과 바다, 강을 끼고 있으며, 기상 여건이 좋아 스 포츠 선수들의 전지훈련 선호 지역으로 …

제 26 호

[사설] 녹차가공공장에 잇따른 안전사고… 근본적인 안전대책 필요하다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시설에 대해서도 사고가 날 수 있다는 교훈으로 삼아야”

녹차가공공장에 잇따른 안전사고… 근본적인 안전대책 필요하다“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시설에 대해서도 사고가 날 수 있다는 교훈으로 삼아야”하동  녹차가공공장에서  또  안전사고가 났다. 지난달 19일 가공시설 난간에 올랐 던 50대 초반의 직원이 …

제 26 호

[기고] 창간사 그간 감사합니다. 더 좋은 신문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종균 대표이사

창간사그간 감사합니다. 더 좋은 신문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김종균 대표이사주간하동을 애독해주시는 군민과 출 향 향우 여러분 반갑습니다. 올바른 소식을 전하고자 창간한 ‘주간하동’ 이 벌써 1주년을 맞았습니다. 군민과 향우 여러분의 사랑과 도움 덕분으로 …

제 25 호

[기고] 창간사 창간 1주년에 즈음해서 … 주간하동 독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진흥기 회장

창간사창간 1주년에 즈음해서 … 주간하동 독자 여러분 감사합니다진흥기 회장 하동군민들에게 올바른 소식을 전 하고자 ‘주간하동’이 창간한 지도 1 년이 됐습니다. 그간 한 달에 2차례, 총 24회에 걸쳐 신문을 발간하므로 군민에게 바른 소식을 전하도록 노 력해 …

제 25 호

[기고] 창간사 하동의 밝은 내일을 여는 길잡이가 되어주길 기대합니다

손영길하동수협장

창간사하동의 밝은 내일을 여는 길잡이가 되어주길 기대합니다손영길하동수협장「주간 하동」 창간 1주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지역의 소식을 생생히 전하며 군민과 함께 호흡해 온 지난 1년은 결코 짧지 않은 여정 이었습니다. 「주간 하동」은 창간 이후, 지 역민의 목소리를…

제 25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