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2)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2)

김지백(澹虛齋 金之白) 武陵橋(무릉교)
  • 제 12 호

본문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무릉교-

千載秦餘一谷開(천재진여일곡개) 

오랜 세월 선경이 한 골짜기에 펼쳐져 있어,

武陵橋下客筇回(무릉교하객공회) 

나그네 무릉교 아래서 지팡이 짚고 돌아오네.

仙區自有前緣在(선구자유전연재) 

신선의 고장은 본래 지난날 인연이 있었으며,

不獨漁郞逐水來(부독어랑축수래) 

물길을 찾아가는 길은 어부뿐만이 아니라네.


○ 말구(末句)에 주자(朱子)의 무이구곡(武夷九曲) 詩 “어부 가 다시 무릉도원 가는 길을 찾으니”의 뜻을 채용(采用)하였 다.[末句采用朱子九曲詩“漁郞更覓桃源路”之意]

秦餘(진여) : 진(秦)나라의 병화를 피하여 살아남은 사람들이 사는 곳을 말한다. 어부가 물결에 떠내려오는 복사꽃을 보고 근원을 찾아 도화원(桃花源)에 갔다가 그곳 사람들에게 묻자, 그들이 “선대에 진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처자들을 데리고 이 외딴 지역에 온 뒤로 다시는 외부로 나가지 않았습니다. 그래 서 외부 사람들과 단절되어 지금이 어느 때인지도 모릅니다.” 라고 한 〈도화원기〉의 고사에서 온 말인데, 흔히 선경(仙 境)을 표현하는 말로 쓰인다. 《陶淵明集 卷6》도원(桃源) 선 경(仙境). 武陵橋(무릉교) : 화개(花開) 신흥리(神興里) 삼거 리 시내에 있었던 다리. 서산대사 휴정(西山大師 休靜)의 《 유무릉동(遊武陵洞)》의 詩가 있다.

仙區(선구) : 신선의 고장. 신선의 땅. 漁郞(어랑) : 어부(漁夫). 



次眞上人韻(차진상인운)

-眞상인의 시에 차운하다-

勝地東南似此稀(승지동남사차희) 

지리산 동남쪽의 명승지로 이러한 곳 드물고,

客來尋舊一荷衣(객래심구일하의) 

나그네 연잎 옷 입고 옛 자취를 찾아서 왔네.

武陵橋下遊仙處(무릉교하유선처) 

무릉교 다리 아래는 신선이 노닐었던 곳으로,

鐵笛聲中獨自歸(철적성중독자귀) 

쇠 피리 소리를 들으면서 나 홀로 돌아가노라.

勝地(승지) : 경치(景致)가 좋은 곳. 명승지.

荷衣(하의) : 연(蓮)잎으로 엮어 만든 은사(隱士)의 옷을 말한 다. 초사(楚辭) 이소경(離騷經)에 “연잎을 재단하여 옷을 만 듦이여, 연꽃으로는 치마를 짓도다.[製芰荷而爲衣兮 集芙蓉 而爲裳]” 하였다.

遊仙(유선) : 신선이 노는 곳.

鐵笛(철적) : 쇠로 만든 피리로, 은자(隱者)의 피리를 뜻한다. ※ 1655년(효종6) 10월 10일 불일암(佛日菴), 불일폭포(佛日 瀑布), 향로봉(香爐峰)을 구경하고, 다음날[11일] 쌍계사를 떠나 무릉교(武陵橋)를 건너 신흥사(新興寺)의 옛터를 찾아 가 능파대(凌波臺) 주위를 둘러보았다. 거센 물결을 건너 너 럭바위에 이르렀다. 너럭바위 위에 과연 세이암(洗耳巖)이라 는 세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글자체가 최치원의 필체와 비슷 하나 자세히 알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詩 한 수를 읊었다.


김지백[澹虛齋 金之白.1623(인조1)~1671(현종12)]. 

조선 중 기 학자. 字:자성(子成). 號:담허재(澹虛齋). 本貫:부안(扶安). 居:남원(南原). 文集《담허재집(澹虛齋集)》. 1648년(인조26) 과거에 급제, 진사(進士), 사헌부 집의를 역임. 《유두류산기( 遊頭流山記)》가 있다.

 

전체 99 건 - 1 페이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何誅喬桐主(하주교동주) 어찌 연산군을 탓할 수가 있겠는가&…

제 27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 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 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

제 27 호

이런 저런 날

시인 김중열

이런 저런 날시인 김중열우리에게그런 날도 있었고 우리에게이런 날도 있었다우리에게언제 저런 날이있었는지꿈같은 이야기지나간 세월은추억속에 묻히고오늘의 시간은냉혹하지만내일의 시간은행복할꺼야오늘 내리는 비새생명이 꿈틀거리고 내일 사랑의 빛이 우리곁으…

제 27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자리짜기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자리짜기

제 26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6)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2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6)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2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衣從畢齋摳(의종필재구) 점필재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는데,…

제 26 호

맨몸으로 비를 맞는 사람

시인 최증수

맨몸으로 비를 맞는 사람시인 최증수비가 오면 만물이 젖지요.땅도, 동식물도, 사람도 모두 다.비의 이야기와 풍요를 기리며온 몸으로 젖기도 하고, 우산 받으며 젖기도 하지요. 큰 가뭄에 물방울 보고 절하던 사람도 비에 젖고, 긴 장마가 지겨워 한 숨 쉬…

제 26 호

진정한 사랑

시인 김중열

진정한 사랑시인 김중열재래시장 노점만원짜리 꽃무늬여름옷 한벌 사서한평생 말없이 살아준 아내에게살며시 주었지누구처럼유명 브랜드 목걸이 가방 반지꿈같은 별천지 얘기지만은내 진정한 마음담은 선물이라고맙다며미소로 답하여 주었답니다꿉꿉한 장마철조개 버섯 애호박미나리 감자 땡초 …

제 26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대장간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대장간

제 25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5)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1/4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5)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1/4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天地旣儲精(천지기저정) 하늘과 땅은 이미 정기가 쌓였는데,…

제 25 호

천리길 달려온 벗님

시인 최증수

천리길 달려온 벗님시인 최증수날 어떻게 생각했기에내가 선 그 자리를 가슴에 새겼다가눈 감고도 찾아오는 사람.두고두고 간직한 애틋함이 하늘 울렸는지 두 발로 쿵쿵거리며 폼 나게 걸으니그 모습이 어찌나 예쁜지요.만나는 기쁨만큼 신나는 일 있을까푸른 잎이 반짝이며 …

제 25 호

아름다운 마무리

시인 김중열

아름다운 마무리시인 김중열돌밭이라도생명이 숨쉰다가시밭길에도꽃이 핀다높은 산중일수록메아리 울림이 길고 굵다깊은 바다에는신비의 전설이흐른다세상은 잠시도멈추지 않고세월이란 이름으로 흐른다우리들 모두이런저런 흐름속에 매몰되어 멈 춘다지난 날을 되돌아보며 -

제 25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용선관음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용선관음

제 24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4)

枕湖亭(침호정) 岳陽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4)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枕湖亭(침호정) 岳陽노광무(懼菴 盧光懋)-침호정-枕湖亭子靜無塵(침호정자정무진) 침호정 정자는 고요해 티끌 하나 없으며,椽竹簷䒢起造新(연죽…

제 24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 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 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

제 24 호

달빛

시인 김중열

달빛시인 김중열달빛아래선비가 瞑想에젖어 들었다달빛아래한 여인이 정안수 떠놓고 기도드리고 있다달빛아래어부가 은빛파도를 헤치며 수평선 너머로 떠난다 달빛아래老스님이풍경소리 저멀리 山寺를 오른다달빛맑고 밝은 달빛 영원한우리 마음의 등대 이…

제 24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