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해안 섬연결 해상국도’ 계획과 ‘하동군의 남해안 관광지구 지정’
“세상의 흐름을 잘 살펴서 하동군의 계획 진행해야”
- 제 28 호
본문
‘남해안 섬연결 해상국도’ 계획과 ‘하동군의 남해안 관광지구 지정’
“세상의 흐름을 잘 살펴서 하동군의 계획 진행해야”
최근 새정부 들어서 경남의 가장 큰 화제는 남해 안의 섬을 연결하는 해상국도 사업 구상 발표다. 경상남도는 거제에서 통영을 거쳐 님해군을 연결 하는 섬연결 국도 계획을 지난 7월 초 발표했다.
이 사업 구상을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부산 에서 이미 개통한 거가대교를 거쳐서 거제 일대 를 지나 해금강 대교와 통영시 추봉도와 한산도 를 잇고, 나아가 국도 5호선 연장을 통해 통영 도 남동 구간을 거쳐 수우도와 사량도도 새로 연결 하는 구상이다. 나아가 사량도와 수우도를 넘어 창선으로 연결하는 교량이 가설될 계획이다.
이 구간에는 가창 해금강 대교 1km – 한산대첩 교 2.8km - 신통영대교 7km - 사량대교 3km - 신 남해(창선대교) 4km 등 총 5개의 대형교량 건 설이 계획돼 있다.
이후 남해 창선대교를 거쳐 남해군 본섬으로 연 결되면 이미 발주돼 공사가 진행 중인 남해 본섬 과 여수를 잇는 해저 터널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상을 보면 남해안 해상 국도 구간이 무 려 152km에 이르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남해안 의 교통과 물류 이동은 물론 관광지도를 획기적 으로 바꾸고도 남을 사업 구상이다. 영-호남 남 해안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통영시는 해양수산부 ‘복합해양레저 관광도시’ 공모 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 1 조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 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광도시로서의 발판 마련 을 기대하고 있다.
문제는 하동군이다. 하동군은 진교와 금남면 일 대 해안가를 체계적이고 품격있는 관광지로 개발 하기 위해 ‘하동군 해양관광지 지구 지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이 사업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으며, 용역이 마무리되면 일부 보안 작업을 한 뒤 오는 ‘2026 년 해양관광지구 지정’을 목표로 진행하기로 했 다. 하동군 해안가를 해양자원과 연계한 관광개 발을 본격화 하겠다는 구상이다.
경상남도가 이번에 발표한 남해안 섬 연결 해상 국도 구상을 살펴보면, 앞으로 이 도로나 주변 지 역이 남해안 관광지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섬과 섬을 연결하는 자연경관은 물론 육지부 해 안까지 더해지게 되면 천혜의 관광자원으로 탈바 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이 국도 예상 구간에 관광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이번 해상국도 연결사업이 발표되면서 해 양관광 개발사업에 가속도를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하동군이 구상하고 있는 남해안 해양관 광개발 사업지역은 경상남도가 구상하고 있는 섬 연결 국도 사업 구간에서 벗어나 있다. 다시 말해 하동군 진교와 금남 지역은 이러한 해상국도 해 역과는 거리가 멀다. 억지로라도 거쳐서 지나갈 수 있는 구역에도 포함돼 있지 않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도로망을 구축하고 이 곳을 따라 특색있는 관광, 레저 시설들이 잇따라 들어설 경우, 하동군 일대 해안가는 경쟁력이 떨 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럴 경우, 하동군이 남해안권 해상관광 거점으 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이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하동군이 진교와 금남 해안개발을 구상할 당시 이미 경상남도가 해상국도 건설 구상을 하고 있 었을 것이다.
이런 사실을 모르고 하동군이 독자적으로 해양 관광지구 개발 구상을 추진해 왔다면 그나마 이 해할 수 있다.
하지만 경상남도의 섬 연결 해상국도 건설 구상 을 이미 알고도 하동군이 ‘해양관광지구 지정’을 위한 구상을 독자적으로 진행해 왔다면 추후 진 행 과정에 불거지게 될 별도의 변수 검토가 필요 해 보인다.
다시 정리하면 하동군의 해안가는 경상남도의 관 광개발 중심축에서 벗어나 있다. 게다가 이런 불 리한 조건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자연적 관광 자원을 갖추고 있지도 못하다.
자칫 무리하게 추진하다가는 용역비용 낭비는 물 론 장밋빛 희망을 품고 있던 지역 주민들에게 실 망감을 안겨줄 수 있다.
물론 ‘지구지정을 받아낸다’ 하더라도, 민간 투자 를 유치하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 지리적 입지와 우수한 해양관광 자원을 기반으 로 한 관광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 어넣겠다”는 하동군의 구상이 실효성 있는 미래 구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 마련 이 필요해 보인다.
일단 용역을 발주하고, 지구 지정을 신청해 보고, 그리고 그 이후 추진 과정에 대한 확고한 추진 의 지와 비전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그 이후 실망감 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상황이 도래할 수도 있다는 점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하동군의 용의주도한 해양관광지구 지정 구상을 기대한다.